●2025년,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디지털 K농업
- 조용빈 농진청 디지털농업추진단장
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은 농업 관련(생산, 유통, 소비 등)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 수집, 저장관리, 결합, 분석 공유해 의사결정 지능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농업을 말한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은 독자적인 디지털 농업 데이터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고 유럽은 EU 차원에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국내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 이하 농진청)도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있다.
농진청은 디지털농업추진단을 발족해 현장 실증 과제를 중심으로 한 R&D를 진행하고 있는데 조용빈 디지털농업추진단장을 만났다.
조영빈 농업진흥청 디지털농업추진단장은 “디지털농업기술개발을 통해 한국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인건비 저감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드론이 농업자동화 게임기 사용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농진청 디지털농업추진단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미래 농업 발전과 관련해 농진청은 미래 농업의 발전 가능성을 검토해 지난해 11월에는 디지털 농업 추진단을 발족시켰습니다. 올해 1월에는 디지털 농업 촉진 기본계획을 책정했습니다.
이 계획은 정부의 제4차 산업혁명위원회 데이터특위에서 공식 심의 의결된 내용으로 국내 부처 중 데이터특위의 첫 번째 심의 통과 계획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2. 한국형 스마트펌으로 인해 노지 스마트펌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데
우선 농진청은 디지털 농업 스마트 팜을 시설 작물 중심으로 진행해 왔습니다. 시설작물은 시설 자체를 구축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어 일반 농가가 접근할 수 없었습니다.
농진청은 시설 농가에서 얻은 디지털 기술을 일반 농가에서 얻을 수 있도록 노지 스마트 팜화로 확대했습니다. 노지 스마트 팜 구축의 큰 축의 하나는, 노동력의 삭감 편리성, 즉 「자동화」이며, 두 번째는 「데이터 농업」에 의해 생산성과 환경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 중에서 농진청은 중점 추진 과제를 선정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농업 데이터 생태계 구축에 임하고 있습니다” 농업현장, 연구실 등의 발생데이터 수집을 확대, 표준화를 유도하여 AI 서비스 시스템을 갖추는 것입니다.
두 번째 분야에서는 생산성 정밀재배기술 즉 자동화기술입니다. 자동화 기술에는 드론을 활용한 파종·시비·방제가 있어, 자동 주행 기술을 가지고 이양·수확하는 기술이 있습니다.
현재 농진청에서는 한국우주항공연구원과 공동으로 농업용 위성을 자체 개발하고 있는데 2025년 궤도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위성이 현실화되면 사흘에 한 번씩 한반도를 순회하며 주산지의 재배 면적과 작황을 데이터화할 예정입니다.
3. 현재 디지털 농업 추진단에서 진행되고 있는 노지 스마트 팜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는?
첫째, 편의성 중심의 자동화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을 들 수 있습니다. 농진청에서는 자동화 기술을 구체적 품목에 도입하여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벼 재배의 경우 드론, 자율주행, 위성기술 등을 통한 편리성 절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이상기온이 내려 벼 수량이 30% 감소했지만 이를 막기 위해 인공위성 데이터 등을 확보해 안전생산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또 밀은 이미 국민의 식생활에 중요한 작물이 되었습니다.”현재 밀 자급률은 1%도 안 되지만 정부는 2030년까지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래서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올려야 하는데 기상·토양 빅데이터를 통해 지역별 적격 품종을 선택해 재배할 예정입니다.
4. 농업분야 공공 빅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활용에 관한 문의가 많습니다. 디지털 추진단의 계획은?
현재 농진청은 연구실에서부터 농업현장까지 연구데이터 수집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시설·노지 등 여러가지 농업 현장의 생육·환경·기상 및 수량·품질 데이터를 센서, 현장 조사에 의해 수집·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작목·기술별 데이터 형식, 단위, 측정 항목 등의 분류로 표준화해 나갑니다.
이러한 데이터 구축을 기반으로 2027년을 목표로 농업용 R&D 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현장농업인을 위한 서비스로 영농서비스 고도화 통합 플랫폼을 2027년에 오픈할 예정인데, 농업인과 유통인 등 관계자를 위한 현장밀착형 데이터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5. 앞으로 기대되는 노지 스마트팜의 신기술이 있으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개인적으로 드론이 노지 스마트팜 자동화 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드론을 이용한 직파종·시설비·방제 패키지 기술, 위치정보(GPS)와 상황인식 기반의 자율주행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지능화 분야에서는 생육단계별 최적환경관리와 병해충 판별 AI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노지 스마트 팜의 활성화를 위해 센서, 자동수구 등도 플랫폼과 연계하여 디지털 농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 김제 등의 특성화 농장에서 수위진단에 따른 자동 수구 제어 기술이 현장 실증 중입니다.
김경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