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치료제-부교감신경작용제(축동제);이솝토카핀, 오큐칼핀

지난번에 녹내장과 관련된 눈 속의 자율신경계를 알아봤습니다.녹내장 치료에 대한 긴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요? 일단 녹내장이란 시신경 손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눈의 신경…blog.naver.com 오늘 EYE 잘 보이는 이야기의 주제는 그 중에서 부교감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입니다.1. 필로카르핀(Pilocarpine) 가장 많이 쓰이는 부작용제(Parasympathomimetic) 1작용기전 ①홍채조임근(Irissphincter)과 형체근(ciliarymuscle)의 무스카린성수용체(M3R)에 작용하여 두 근육을 수축(그림1)

그림 1.부교감신경작용제(필로칼핀)는 홍채조임근과 형체근의 M3 수용체에 작용합니다.② 형체근육 수축이 일어나고, ᄉᆷᄋ 섬유주 쉬렘관(TM)의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방수 유출 증가(그림2) ᄎ홍채뿌리와 형체를 통해 방수를 내는 포도막공막 방수 유출은 감소(그림3)

그림 2. (A) 좁아져 있는 섬유주-슈렘관의 방수 유출로 (B) 필로칼핀에 의해 형체근이 수축하게 되면 이 유출로의 공간이 넓어져 방수가 잘 빠지게 됩니다.

그림3. 피로칼핀을 사용하면 형체근 수축에 의해 방수의 포도막공막 유출은 감소 + 섬유주 쉬렘관 유출은 증가합니다.방수 유출의 약 90%를 담당하는 섬유주의 유출량이 증가하므로 포도막 공막 유출량이 줄어들어도 전체 방수 유출은 증가하고 안압 하강으로 이어집니다!

2) 약물 (그림 4): 이솝토카핀 2% (한국 노바티스), 오큐칼핀 2% (삼일제약) ① 점안 15-30분 후 축동 개시 → 총 4-8시간 동안 축동 유지 ② 점안 2-4시간 후가 안압이 가장 낮습니다.

그림 4. 필로칼핀 점안액 3) 부작용 ① 전신 부작용 : 땀, 타액 등의 분비물의 증가, 기관지 경련 ② 동공 축소에 의한 야간 시력 저하 ③ 조절 경련, 약물에 의한 일시적 근시 ④ 수정체의 전방 이동 → 동공 폐쇄 악화 (그림5) cf. 따라서 폐색각 녹내장 치료로 필로칼핀을 사용하였으나 오히려 안압이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그림 5. 필로칼핀 사용 후 수정체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동공폐쇄가 발생했습니다.⑤ 형체근육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경련 → 두통, 눈썹부위의 통증, 결막충혈, 눈물을 흘리는 ᅧᄋ -혈액-안벽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염증반응을 유발하므로 포도막염이 있을 때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2. 카바콜(Carbachol) 작용기전①필로칼핀과 같이 콜린성 작용제로서 부교감신경의 말단을 직접 자극②아세틸콜린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Acholines;AchE)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무시해 버리기 때문에 더 강한 콜린성 작용(그림6)

그림 6. 하마콜은 부교감신경 말단에 직접 작용하면서 AchE에 의해 분해되지 않습니다.2) 약물 ① 해외에는 점안제 형태의 약물이 있는데(그림 7-A) ② 국내에는 주사제 형태의 약물만 있습니다(그림 7-B): 주로 백내장 수술 후 전방 내에 주사하는 ‘마이오스타트(한국알콘)’ → 수술을 위해 확장되었던 동공을 다시 축소시킵니다.

그림 7. (A) 이솝토카바콜 (알콘) – 국내에는 없습니다, (B) 마이오스타트 주사 (한국알콘) 이전 폐쇄각 녹내장 치료에서 부교감신경작용제인 축동제를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원전 폐쇄각 녹내장(Primary Angle-Closure Glaucoma) 3탄! 그동안 PACG가 어떤 질환인지.blog.naver.com을 정리하면 부교감신경작용제는 녹내장으로 주로 폐쇄각 상황에서 홍채와 형체근육을 수축시켜 접촉성 전방위 폐쇄를 개선하고 섬유주를 당겨 섬유주를 통한 방수유출을 증가시킵니다.

다음 시간에는 교감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을 하나씩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