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죽상경화의 원인, 죽상동맥경화증 치료제

본 내용에서는 경험해 본 적이 없더라도 누구나 들어본 동맥경화 증상, 원인, 치료, 약 등에 대해 조사합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건강을 지키세요.

동맥경화증, 죽상경화증이란?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혈관은 내막, 중막, 외막의 3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중막은 가장 두꺼운 층으로 근육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서 탄력성이 좋은데 이 중막이 딱딱해지면서 탄력성이 감소하는 것을 동맥경화증이라고 합니다.

반면 혈관 안쪽 내막은 내피세포로 둘러싸여 있지만 살아 있는 동안 혈압, 당뇨, 염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계속 손상을 받게 됩니다. 그렇게 손상된 부위에 콜레스테롤과 염증 세포 등이 달라붙게 되는데 혈관 내막 안쪽에 이런 콜레스테롤과 염증 세포, 여러 노폐물이 쌓이면서 서로 엉켜 죽처럼 형성되는 것을 죽상반(플라크)이라고 합니다.이 죽상반이 혈관 내에 침착되면서 혈관 내강이 좁아지고 혈관 탄력성도 감소해서 혈류를 원활하게 할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을 죽상경화증이라고 합니다.

© averey, 출처 Unsplash

또 죽상반을 감싸는 흰막 같은 경화반이 있는데 이 경화반이 갑자기 터지게 되면 싸여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노출이 되면서 혈액과 만나면 혈소판이나 적혈구 등이 빠르게 얽혀 혈전이 생기게 됩니다.이런 혈전이 커지면서 갑자기 혈관을 막아버리게 되면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기 때문에 해당 기관의 괴사와 같은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 유발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게 심근경색, 뇌경색 같은 질병이 발생합니다.

우리가 흔히 동맥경화라고 하는 것은 이런 죽상동맥경화증을 의미하는 것으로 죽상경화와 동맥경화의 의미는 다르지만 대개 같이 진행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통은 의미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죽상동맥경화증상 죽상동맥경화증상은 혈관 내강이 50~70% 정도 막힐 때까지 거의 아무런 증상이 없고 70% 이상 내강이 좁아지면 혈류에 장애가 생기는데 그로 인해 그 장기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 mohamed_hassan, 출처 Pixabay

심장혈관, 관상동맥에 생기는 경우

관상동맥에 죽상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해서 심장에 통증이 생기는데 이를 협심증이라고 합니다.협심증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 통증인데 가슴 중앙 뼈 뒤쪽이 쥐어짜듯이 압박되는 통증이 발생합니다. 특별히 가만히 있을 때는 증상이 없지만 계단을 오르거나 무거운 짐을 드는 등의 활동을 하게 되면 이런 뻐근한 흉통이 생기는데 5~10분 정도 지속되면 호전된다고 합니다. 때에 따라서는 목이나 어깨에 방사통이 생기거나 이런 흉통 없이 호흡 곤란해지기도 하는데 예전에는 자주 걷던 계단이 숨이 차는 증상도 협심증 증상일 수 있다고 합니다.

죽상동맥경화증이 서서히 진행되면 이런 협심증이 생기는데 죽상반이 터지면서 혈관이 갑자기 막히는 경우에는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심근경색은 협심증과 유사한 형태의 흉통이 훨씬 강한 강도로 발생하며 난생 처음 겪는 심각한 흉통을 겪게 되는데 20~30분이 지나도 가라앉지 않고 식은땀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더 심한 경우 심장 기능이나 혈압이 떨어지면서 어지럼증, 구토 증상이 발생하고 의식 소실이나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geralt, 출처 Pixabay

뇌혈관에 생기는 경우

뇌혈관에 죽상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 작은 혈관이 막힌 경우 일과성 뇌허혈 발작이 발생할 수 있고 큰 혈관이 막힌 경우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두통, 어지럼증, 기억력 감소 등의 특이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한쪽 감각 저하, 편마비, 갑자기 말이 나오지 않거나 둔해지는 등의 언어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bwtobias, 출처 Unsplash

하지 혈관

하지혈관에도 병이 생겨 말초동맥폐색질환이 생기고 파행증이라고 너무 많이 걸으면 다리가 당겨져 아픈 하지통이 생기고 하지가 저리는 경우도 있고 심하면 하지에 허혈성 괴사나 궤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verey, 출처 Unsplash

신장 혈관

콩팥혈관에도 문제가 생기면 콩팥 기능이 떨어져 신부전, 고혈압, 콩팥괴사 등이 발생하고 심하면 투석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소변량이 줄어들고 몸이 붓고 폐에도 물이 차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 geralt, 출처 Pixabay

대동맥

대동맥에 죽상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 좁아질 수도 있지만 반대로 동맥벽이 약해지면서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복부 대동맥류나 대동맥내막이 찢어지는 대동맥박리, 심지어 파열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죽상동맥경화의 원인 및 위험인자

© IliaB, 출처 Pixabay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은 죽상동맥경화의 4대 원인으로 불리는 주요 요인이지만 개인의 노력에 따라 조절 가능한 질환입니다.

나이가 들면 동맥경화는 심해질 수밖에 없는데 남성 45세, 여성 55세 이상부터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유병률이 급속히 올라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직계가족 중 관상동맥질환이나 허혈성 뇌질환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이 높고, 이밖에 비만, 운동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만성염증도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죽상동맥경화치료, 죽상동맥경화증상이 많이 발생할 경우 혈관촬영을 해보면 심한 협착부위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심한 협착부위는 혈관성형술을 통해서 넓히는 치료를 합니다. 이것은 스텐트라는 그물로 이루어진 철망을 좁아져 있는 죽상동맥경화 부위에 넣어 혈관을 넓힘으로써 혈류의 흐름을 개선시켜 주는 시술입니다.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그러나 병이 너무 많거나 협착이 너무 길어서 스텐트를 넣을 수 없거나 너무 딱딱해서 시술로 도저히 열 수 없을 때에는 우회로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막힌 부위를 자신의 혈관을 떼어 붙이거나 인공 혈관을 붙여 우회로를 만들어 피가 통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술, 수술적 치료 외에도 위험인자를 교정하고 관리하는 것도 중요한 죽상동맥경화치료인데 필요한 경우 혈전을 막기 위해 약물치료가 따를 수 있습니다.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한 스타틴 계열 약이 주로 처방된다고 합니다.

이밖에 죽상동맥경화증의 여러 위험인자인 당뇨병, 고혈압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