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축농증 증상이 의심되는 대전축농증, 코에서 악취,

대전축농증, 코에서 악취, 만성축농증 증상 의심

봄기운이 느껴지는 날씨에 막힌 코가 서서히 트이기 시작하는 계절. 하지만 여전히 코가 답답하고 숨을 쉴 때마다 강력한 냄새까지 난다면? 감기 기운이나 가벼운 비염이라고 생각해서 적당히 넘기면 안 됩니다.

코 주위에는 코와 연결되어 있는 양쪽 동굴이 있습니다. 부비동. 말 그대로 코 옆 동굴이에요. 부비동은 이마 쪽의 전두동, 그 뒤의 사골동과 접형동, 치아 위쪽의 상악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비동의 역할은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인 역할은 내부 점막에 의해 코로 들어온 찌꺼기를 빼서 공기를 따뜻하게 하면서 습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코로 들어온 공기가 부비동과 연결된 자연공을 통해 부비동으로 들어간 후 따뜻한 숨을 몰아쉬고 찌꺼기는 코로 배출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감기, 비염과 같은 상황이 오래 지속되고 자연공이 막히거나 의사소통 기능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부비강 내에 염증 물질 등이 들어가 부비강염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콧물이 노랗게 나오거나 부비강이 위치한 안면과 주위까지 통증이 발생하고 치통, 두통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들어온 것이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동굴 안에 쌓여서 문제가 됩니다. 고인 물은 썩고 오래되면 악취가 날 수밖에 없어요.

부비강염이 발생한 지 4주 이내이면 급성 부비강염, 3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 부비강염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만성일 경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코 점막의 섬모 기능이 둔화되고 있거나 점액 분비가 잘 되지 않거나 점막이 자주 부어 자연공을 막는 등의 이유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심한 비염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축농증은 콧속 빈 공간인 부비강에 염증이 발생해 고름이 쌓이는 질환을 말하며 노란 콧물, 두통, 코막힘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이를 단순한 감기라고 생각하고 방치하면 후각저하, 수면장애, 비중격만곡증, 기관지염, 중이염 등 각종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축농증이 의심될 경우 만성화하기 전에 빨리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치료 및 생활관리를 하면서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약물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만성 부비강염으로 진단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축농증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잘 치료되지 않거나 재발이 잦은 비염과 축농증 모두 배농치료도 중요하지만 결국 코점막의 본래 기능을 강화해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코 점막을 가볍게 자극해 재생을 유도하고 안면에 집중된 열기를 낮춰 부기를 가라앉히고 점막의 본래 기능과 호흡기 면역력을 강화하는 치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물을 자주 마시고 생리식염수로 코 점막을 윤택하게 하거나 세척하는 것, 실내 온습도를 따뜻하고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 염증과 농사를 조장하는 맵고 자극적이며 기름진 식사를 피하고 신선식품을 섭취하는 것 또한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대전축농증 본원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