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에서 물건을 구입할 때에는 실물 현금의 사용성이 점점 저하되어 계좌로 송금하는 것이 이제는 낯선 광경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많이 쓰이는 카카오뱅크나 토스를 비롯한 시중은행 앱이 출시되기 전까지는 은행에 있는 ATM을 통해 진행한 바 있었습니다.
예전보다 빈도는 많이 줄었다고 하는데 앱 사용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거나 ATM으로 하는 것이 편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오늘은 이체 방법과 시중은행 수수료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무통장 입금하는 법무통장 입금 방법을 보기 전에 해당 이미지에 나와 있는 것은 신한은행 ATM입니다.
개인마다 주로 거래하는 은행이 다르지만 계좌이체를 하는 과정은 크게 다르지 않으니 참고하셔서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맨 처음 화면에 표시되는 “입금/이체”를 터치하고 이어서 다시 이체를 선택합니다.


이어서 어떤 형태로 송금할지 선택해주는데, 그 중에서 ‘본인 계좌로 송금’을 선택하시면 수취계좌 입력과 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등록번호를 눌러 입력해 줍니다. 가상계좌는 보통 온라인상에서 결제방법을 선택할 때 흔히 볼 수 있는 결제방식이죠?

마지막으로 입금자 명의의 전화번호와 보낼 금액을 입력한 후 확인을 눌러주면 돈을 넣어달라고 기계로 입을 엽니다. 입력한 금액 그대로 현금을 넣으면 끝입니다.
모든 과정이 끝나면 수취인 계좌와 성함, 금액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ATM은 창구에서 하는 것과 달리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송금은 최소 10,000원부터 가능하고 하루 송금 가능 금액이 100만원 이하로 제한돼 있어 초과하는 금액은 며칠씩 나눠 보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은행별 자동화기기 이용수수료 무통장 송금이 꼭 없어도 현금 입출금을 해야 하는 경우 자동화기기는 영업시간 여부에 따라 수수료 차이가 존재합니다.
사실 웬만하면 잘 못해도 급할 때는 울며 겨자 먹기로 해야 할 때도 있는데요. 은행별 자동화기기 이용 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상하게도 바쁘지 않을 때는 쓸 일이 없어도 급할 때 한 번씩 이용하게 될 때가 있었습니다.
아까 말씀드렸듯이 아직 앱 송금이 어려우신 분이나 창구 앞에서 더 이상 기다리기 불편하신 분들은 알아두시고 아껴쓰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