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자율주행 로봇배송 현황과 국가의 역할

10월부터 배달로봇 관련 회사로 이직하게 되었습니다. 로봇이나 배달, 물류, O2O 서비스 등 모든 부분이 낯설지만 공부할 겸 여러 글을 SNS나 블로그에 써보려고 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이 읽으시면 댓글로 의견 주세요. 다양한 피드백을 통해 생각을 발전시켜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일본 정부는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신배송 기술 개발과 확산을 위해 경제산업성과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를 중심으로 실증사업과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시작은 코로나 유행에 따른 ‘원격·비대면·비접촉’ 배송기술 사업 추진이었지만 근본적으로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측면의 접근으로 보인다.

NEDO의 실증사업 목록을 보면 상당히 다양한 공간에서 POC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고, 확실히 한국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다. 민간기업과 공공이 협력하는 모델(일본은 공공의 역할이 중국만큼 큰 나라)이 정착된 일본의 특성이 반영돼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사례를 실을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중산간 지역에서의 사업은 수익성 면에서 검토되지 않는다.전체적인 실증사업 목표는 △자율주행 로봇·시스템 기술 개발 지원 △자율주행 로봇 개발 성과 실증 △사회적 수용성 향상 방안 검토 등 3가지라고 하며, 특히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이 큰 것으로 보인다. 아래 자료를 보면 일본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배송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고민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데 기술적인 부분도 부분이지만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가 눈에 들어온다. 주민·이용자 설문도 함께 진행한다지만 로봇과 인간의 공존을 위해 바람직한 방향이다.

기술적인 부분에서 인상적인 것은 한국에서 고민 없는 통신 트래픽의 이슈이다. 옥외 자동 로봇은 상시 관제 시스템과 연동해야 하기 때문에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통신 트래픽을 유발한다. 한국은 통신 지연에 따른 인프라 정비보다는 트래픽 자체가 이슈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 부분은 아직 실증 사업이 대규모로 이뤄지지 않은 한국에서는 흔히 논의되지 않았다.예를 들면 최근 글로벌 OTT와 통신사 간의 통신망 사용료 논쟁이 심하지만 앞으로 한국에서 다양한 형태의 로봇 산업이 트래픽의 상당량을 사용하게 될 경우 통신 회사가 글로벌 OTT에 요구하는 것과 같은 형태의 통신망 사용료를 로봇 배달 서비스에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이 어느 정도 비즈니스 모델이 정착하고부터라고 다행이야…그 전이라면 과연 산업이 정착할지 고민이다. 정부가 나서서 중재자가 되어야 시장이 만들 때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로봇 산업은 다른 기술보다 예민한 부분이 있다. 인간에 비슷하거나 인간의 노동을 상당 부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로봇 산업에 대한 인간은 기본적인 두려움이 있다. 그렇지 않아도 과거 산업 혁명이 생산력만 증가 고용을 늘린 것과 달리 요즘의 기술 발전은 생산력 증가와 고용이 정비례 관계를 보이지 않고 새로운 창출은 일자리의 질이 사라진 일자리를 대체할 만한 소득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음을 우리는 경험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심의 로봇 배송이 상용화될 때 국가가 단순히 경제적 측면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주요 플레이어로서 참여하는 것이 매우 부럽다. 과연 한국의 공공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아니,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까? 고민하는 대목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