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위성 #수성위성 #금성위성 #화성위성 #목성위성 #토성위성 #천왕성위성 #해왕성위성 #태양계위성 #태양계위성
금성과 수성은 위성이 없다
화성
포보스
포보스(영어:Phobos)는 화성의 두 위성 중 하나다. 1877년 8월 18일 미국 천문학자 아사프 홀이 발견했다. 홀이 동시에 발견한 또 하나의 화성 위성인 데이모스보다 크고 비교적 안쪽 궤도를 도는 포보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인 아레스의 아들 포보스(공포)에서 따온 것이다.
포보스는 작고 불규칙한 형태이지만 화성 중심부에서 9,377km, 표면에서 6,000km 떨어진 곳을 돌고 있다. 이 거리는 태양계 내의 어떤 위성보다도 어머니의 행성에 가까운 값이다.
포보스는 100년마다 1m씩 화성 표면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5000만 년 후에는 화성 표면과 충돌하거나 화성 고리가 되면서 깨질 것으로 예측된다.[2] 포보스의 표면기온은 햇볕이 드는 곳과 그림자가 지는 곳에서 각각 영하 4도영하 170도 범위에 든다.
포보스데이모스
데이모스는 화성의 두 위성 중 하나로 외근을 한다. 1877년 8월 12일에 아사프홀이 발견했다.
데이모스는 포브스와 함께 원래 소행성대에 있다가 강력한 목성의 인력으로 소행성대를 뛰쳐나와 근처를 지나던 화성에 포획됐다는 설이 가장 인정된다. 데이모스는 가장 장축이 화성을 향하고 있어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일치한다. 데이모스의 표면은 회색이며 매우 어둡고 평균 밀도(2g/cm3 이하)는 낮으며 데이모스가 탄소질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줘 우주 공간을 방황하다 화성의 인력에 사로잡힌 소행성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데이모스는 화성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화성에서 탈출해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데이모스 목성
이오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 목성에 가장 가까운 위성은 이오이다. 그리고 이오는 유로파, 가니메데와 1:2:4의 공전 주기를 가지고 있다. 이런 현상으로 가니메데와 유로파는 이오가 목성을 공전할 때마다 같은 위치에서 힘을 가하게 된다. 목성에 가까워 큰 조석력을 받고 주기적으로 가니메데와 유로파에 의해 힘을 받는 이오는 형태가 조금씩 바뀐다. 이로 인해 내부에 마찰이 생기고 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탐사선에서 관측한 이오의 모습에서 화산을 볼 수 있다. 지구 화산 형태와는 다르지만 용암이 흘러내려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오는 희미한 대기를 가지고 있다.
이오
유로파=유로파의 크기는 갈릴레오 위성 중에서 가장 작은 약 3130km(지름)이며, 질량은 달의 0.65배 정도가 된다. 관측 결과 표면에 구멍이 거의 없고 철이 주성분인 핵과 규산염 맨틀, 그리고 얇은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얇은 지각 아래에는 액체 상태의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오보다는 작지만 내부의 열이 존재하며, 이는 주변의 위성과 목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로파 가니메데
가니메데 태양계 중 가장 큰(지름 약 5270km) 위성으로 알려진 가니메데는 갈릴레오 위성 중 목성에서 3번째로 떨어져 있다. 갈릴레오 우주선의 조사에 따르면 가니메데의 내부 구조는 부분적으로 용융상태에 있는 철화 주성분인 핵이 존재하며 규산염의 하부 맨틀, 얼음으로 이루어진 상부 맨틀, 그리고 얼음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니메데의 표면은 융기한 부분과 함몰이 많이 있어 이를 통해 과거에 지질활동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가니메데
칼리스토 갈릴레이 위성 중 목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은 칼리스토다. 칼리스토는 그 지름이 약 4800킬로, 질량은 달의 1.5배 정도 된다. 특이한 점은 내부구조가 단순히 얼음과 암석으로 이뤄져 있고 지각은 얼음을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밀도는 갈릴레오 위성 중에서 가장 낮은 1830 kg/m3이다. 칼리스토 표면에는 충돌 흔적이 있는데 이는 충격에 의해 얼음이 녹아 여러 개의 고리가 생기며 낮은 온도에 의해 금방 굳어져 생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현재까지는 모두 118개의 위성이 있으며 지금 설명한 것 외에는 108개의 위성이 더 있다.
칼리스토트성 타이탄
토성의 최대 위성인 타이탄은 위성으로서는 특이하게 대기가 있다. 타이탄은 토성 전체 위성 질량의 96%를 차지할 정도로 크다. 타이탄의 지름은 5000km가 넘는데 태양계 전체 위성 중 두 번째로 크다. 타이탄은 행성의 수성보다 크다. 그러나 밀도가 작아 질량은 수성의 절반 정도다. 타이탄의 대기는 대부분 질소이며 약간의 메탄과 아르곤 등이 섞여 있다. 타이탄의 대기는 38억 년 전 원시지구의 대기와 유사해 지구 생명탄생의 비밀을 밝혀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카시니호와 타이탄 표면에 착륙한 호이겐스호 조사에서 탄화수소로 가득 찬 액체 호수가 타이탄 극지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레아
카시니호가 근접 촬영한 레아(Rhea) 표면에는 크고 작은 크레이터가 많이 보인다. 크레이터의 분포는 레아가 겪어온 지각 활동의 흔적을 보여준다. 레아의 평균 밀도는 1.23g/㎤인데, 이로 미루어 25%의 암석과 75%의 수빙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레아의 중심부에 암석의 핵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2006년 카시니호의 근접탐사로 내부가 거의 균일한 물질로 되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레아 주위에 희미한 고리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레아바 고리가 발견된 최초의 위성이 된다.
이아페투스
세 번째로 큰 위성인 이아페투스(Iapetus)는 두 개의 얼굴을 가진 위성이다. 이아페투스의 표면은 밝게 빛나는 면과 시커멓게 먼지로 뒤덮인 면으로 확연히 구분된다. 이 위성은 토성의 위성 중 밝기 변화가 가장 큰데 반사율이 크게 다른 면이 자전에 따라 번갈아 보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카시니호의 탐사로 적도를 따라 호두껍데기 모양으로 솟아 있는 산맥(Equatorial Ridge)이 발견됐다(어두운 면 사진 참조). 이 산맥은 폭이 20km, 길이 1300km, 높이 13km로 우뚝 솟아 있는데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맥이다. 이러한 지형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디오네
토성의 고리와 그 그림자를 배경으로 네 번째로 큰 위성 디오네가 밝게 빛나고 있다. 디오네는 엔켈라두스와 타이탄 다음으로 밀도가 높다. 디오네는 주로 물의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부에 규산염 암석과 같은 밀도 높은 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디오네는 토성의 또 다른 위성인 헬레네(Helene) 및 폴리데우케스(Polydeuces)와 함께 공전 궤도를 공유하고 있다. 헬레네는 크기가 30km(디오네 지름의 1/30 정도) 정도이고 폴리데우케스는 3.5km 정도의 아주 작은 위성이다. 이들은 디오네 앞뒤에 위치한 라그랑즈점인 L4와 L5로 디오네와 같은 공전주기로 목성 주위를 돌고 있다.
테티스
다섯 번째로 큰 위성인 테티스의 밀도는 물보다 약간 작다(0.97g/㎤). 이로 미루어 테티스는 거의 물의 얼음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표면에는 크레이터가 많아 얼음의 갈라진 곳이 보인다. 테티스는 태양계 천체 중 가장 반사율이 높은 위성 중 하나인데, 이는 토성의 E고리에서 방출된 물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테티스도 디오네처럼 크기가 약 20킬로인 두 위성과 공전 궤도를 공유하고 있다. 작은 사진이 그 위성이지만 왼쪽이 테레스토(Telesto), 오른쪽이 칼립소(Calypso)다.
엔켈라두스 카시니호가 촬영한 6번째로 큰 위성 엔켈라두스(Enceladus)의 표면은 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비슷하다. 카시니호는 남반구 극지대에서 물이 풍부한 물질이 내뿜는 현상을 발견해 엔켈라두스가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는 천체임을 알아냈다. 엔켈라두스의 내부 활동이 활발한 것은 바깥 궤도에 있는 디오네와 궤도공명 상태에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디오네의 공전 주기는 약 66시간인데, 엔켈라두스의 공전 주기의 정확히 두 배나 된다
히페리온 히페리온은 토성의 위성 중 가장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아페토스 바로 안쪽 궤도를 돌고 있는 히페리온은 태양계의 불규칙한 모양을 한 천체 가운데서도 특히 크게 찌그러져 있다. 이 사진은 카시니호가 근접 촬영했던 장소를 자세히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이한 크레이터로 덮인 히페리온의 표면은 스폰지와 비슷하게 생겼다. 히페리온이 이런 모습을 하게 된 원인은 위성 간 충돌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는데 이 주장에 따르면 충돌에서 떨어진 조각이 히페리온으로 이아페토스 표면을 덮고 있는 검은 물질도 이렇게 해서 생겼다고 한다.
포이베 포이베(Phoebe)는 토성의 불규칙 위성 중 가장 크다. 불규칙 위성은 긴 타원궤도를 따라 돌면서 궤도면이 행성의 공전궤도면과 크게 기울어져 있거나 반대 방향으로 (역행) 도는 위성으로 외부에서 포획된 것으로 알려진 위성이다. 포이베드 역행성이자 2000년대 토성의 작은 위성이 대거 발견되기 전까지 가장 바깥 궤도를 맴돌던 위성이다. 포이베는 밀도가 낮을 뿐 아니라 크고 작은 다양한 크레이터로 덮여 있다. 또 밝은 안쪽의 위성과 달리 석탄처럼 검고 불규칙한 표면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포이베가 토성에 잡히기 전 해왕성 너머에 빙혜성으로 구성된 카이퍼벨트의 구성원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토성의 위성은 모두 15기로 알려져 있는데 15기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천왕성
아리엘
아리엘은 천왕성과 약 19만km 거리에서 약 2.5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으며 크기는 지름이 약 1160km이다. 그리고 천왕성의 모든 위성 중에서 가장 밝고 어린 표면을 가질 것으로 추측된다.
암브리엘
앰브리엘은 천왕성과 약 26만6000km 거리에서 약 4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으며 크기는 지름이 약 1170km이다. 이 위성들은 천왕성의 다섯 위성 중 가장 오래되고 어둡다. 그리고 거대하고 오래된 크레이터들을 가지고 있다.
티타니아
티타니는 천왕성과 약 43만6000km 거리에서 약 8.7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다섯 개의 위성 중 가장 큰 지름은 1580km이다.
오베론
5개 위성 중 가장 멀리 떨어진 오베론은 천왕성과 약 58만3000km 거리에서 약 13.5일을 주기로 공전한다. 크기는 지름이 약 1520km, 오래된 크레이터가 많이 존재한다.
해왕성
- 나이애드 2. 타라사 3. 데스피나 4. 갈라테아 5. 라리사 6. 프로테우스 7. 트리톤 8. 네레이드 9. 하리메데 10. 사오 11. 나오 메디아 12. 프사마테 13. 네소 14.S/2004 N1
- 해왕성의 지금까지 밝혀진 위성은 모두 14기.
- 행성 위성 찾기 여기까지입니다. 안녕히 계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