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산울림 고전극장 <헤밍웨이(HeMeans Way)> 리뷰

  • 본고는 산울림 지원자로 지원받아 관람 후 리뷰를 작성하였습니다.

  • 공연정보*
  • 공연: 헤밍웨이(Hemeansway) / 극단: 송곳일시: 2021.06.23(수)-2021.07.04(일) 시간: 평일 오후 8시 / 주말, 공휴일 오후 3시(화요공연 없음) 장소: 소극장 산울림(서울 마포구 와우산로 157 지계 소극장 산울림) 런닝타임: 80분 가격: 30,000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157 지층소극장 산울림

작가 헤밍웨이가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고 작품도 완전히 읽지 않은 상태에서 산울림 영미 고전 연극 헤밍웨이를 감상했다.내용을 이해하지 못할까 다소 걱정했지만 관객과의 대화 시간이 있어 극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이 말은 즉 무지한 상태에서 공연을 봤을 때는 극의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 사전 공연 정보를 파악하고 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것이다.

줄거리

극단 <송곳>의 헤밍웨이(HeMeans Way) 공연은 헤밍웨이 작품 ‘무기여 안녕’과 ‘노인과 바다’가 중간중간에 등장하지만 헤밍웨이 작품이 아닌 삶을 보여주는 연극이다.

어니스트 밀러 헤밍웨이에 대해 살펴보면 헤밍웨이는 미국 군인으로 전쟁을 치르고 작가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소설가로 거친 문체와 행동과 말로 잘 표현되는 남성성을 지닌 격렬하고 폭력적이며 강한 성격의 인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연극 헤밍웨이(He Means Way)에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헤밍웨이의 이면을 보여준다. 그의 친구 프레드릭과의 관계, 아내, 아들과의 관계 등에서 헤밍웨이의 위장된 남성성, 모순된 모습을 파헤친다.

산울림소극장 A구역 17번석

극의 시작은 헤밍웨이의 독백이다. 책상에 앉아 글을 쓰려 하지만 쓰이지 않는 글에 시달리는 헤밍웨이. 엄마가 준 권총으로 삶을 마무리하려는데, 그 순간 빨간 원피스를 입은 한 여성의 모습을 한 셋째 아들 그레고리 헤밍웨이가 등장한다. 그레고리 헤밍웨이는 극 시점에서 약 30년 후에 자살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레고리는 헤밍웨이에게 “나를 망친 건 바로 당신”이라며 내가 해야 할 패배자이기 때문에 아버지를 욕하고 진정한 남자라면 죽음을 맞으라고 엽총을 꺼낸다.

그리고 그레고리를 시작으로 그의 친구 프레더릭, 아내 헤들리, 아버지 클라렌스, 어머니 그레이스가 등장하며, 그의 작품 ‘무기여 안녕’ ‘노인과 바다’ 등을 통해 헤밍웨이의 위장된 남성성, 모순된 삶을 보여준다.

자세한 내용은 스포일러가 될 수 있어.여기까지. 이 정도 알고 보러 가도 내용을 이해하는데 문제가 없다.

아들, 아내, 친구, 부모와의 관계, 행동, 말에서 헤밍웨이의 모순을 찾고 거짓 남성성의 모습이 왜 나타나게 됐는지 고민하면서 연극을 보면 충분히 재미있을 것 같다.

개인적 리뷰&관객과의 대화

2021 산울림 고전극장: 우리가 사랑한 영미 고전은 총 5개의 작품으로 진행되는데, 매 작품마다 첫 토요일 공연 직후 30분과 배우 및 연출자와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관객과의 대화시간이 진행된다.

나는 6월 26일 토요일에 공연을 관람하고 관객과의 대화까지 해왔는데, 몇 가지 인상 깊었던 질문과 답변을 바탕으로 관람 리뷰를 써보려고 한다.

Q. <헤밍웨이(HeMeans Way)>에서 HeMeans Way는 무슨 뜻인가요?

이 질문이 나오자마자 배우나 연출자가 작게 웃었고 드디어 이 질문이 나왔다고 하셨다. 부제목 같은 He Means Way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먼저 헤밍웨이와 발음이 비슷해 약간의 말장난으로 HeMeans Way라고 한 적도 있고,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극 말미에 헤밍웨이가 모순을 인정하고 아들 그레고리에게 진정한 아버지로서, 인생의 선배로서 후회와 깨달음을 가지고 조언을 해주는 부분을 의미한다고 했다. 그가 의미하는 진정한 길. 그렇게 해석하면 될 것 같아.

Q. 연극 주제가 위장된 남성성, 모순을 주제로 했는데 왜 헤밍웨이가 그런 인물로 살아왔을까.

이건 제 질문이었는데 저는 헤밍웨이를 잘 모르는 입장에서 연극만 봤을 때 신앙심이 너무 깊은 어머니와 이중적인 면모를 가진 아버지 밑에서 자랐기 때문에 헤밍웨이가 그런 사람이 된 것 같다고 제 생각을 덧붙이면서 질문을 했다. 연출자님 및 배우님들이 관련 질문에 대해 답변이 어려웠지만 어떤 이유로 헤밍웨이가 모순된 삶을 살아 위장된 남성성을 보여줬는지는 잘 모르겠다며 헤밍웨이의 그런 모습을 소개하는 목표를 가진 연극이라고 답했다.

내가 이 질문을 한 것은 연극을 다 보고 관객과의 대화를 지켜보면서 해당 연극의 주제는 알지만 전달하려는 의미를 몰라서였다.헤밍웨이가 문학적으로, 작품이면서도 막대한 결실을 맺고 많은 문학상을 수상한 훌륭한 예술가로 기억되지만 그의 삶은 사실 인정받고 싶다는 잘못된 욕심과 주변인을 비하하고 부수어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는 폭력성을 가진 사람이었음을 잘 전했다. 아마 이 작품을 본 모든 사람이 앞으로 헤밍웨이를 위대한 문학자로만 생각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하지만 그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는지 궁금했다. 나는 연극이나 뮤지컬 등 공연이 관객의 생각을 바꾸는 힘을 가졌다고 생각하고 그 힘이 셀수록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헤밍웨이(HeMeans Way)에서는 그런 메시지가 집중되지 않는 것 같아 아쉬웠다.

인간은 파괴되어도 패배하지 않는다.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다. 극 초반에 이 대사가 나오는데 문장이 멋있어서 기억에 남았다. 코로나19 상황이 떠오르기도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인간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다. 마스크 없이 웃고 떠들던 일상은 이제 없다. 우리는 우리가 누리던 행복과 자유를 파괴당했다. 하지만 어떻게든 이겨내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패배하지 않는다.헤밍웨이의 인생관에서 이것만은 배워야 할 태도인 것 같다.

진정한 예술가는 고통을 겪어야 한다.어니스트 헤밍웨이가 그의 셋째 아들 그레고리 헤밍웨이에게 끈질기게 한 말이었다. 그리고 그레고리 헤밍웨이를 작품의 영감 때문에 인생을 망치기도 한다.과연 그럴까?헤밍웨이구나. 진정한 예술가는 고통을 겪어야 하는가? 고통의 크기가 클수록 좋은 작품이 나올까.설령 그렇다면 그게 옳은가.극을 보는 내내 의문을 가졌으며, 내 대답은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다. 고통은 정답이 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배우진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ᅦ에 장준혁, 그레고리 헤밍웨이 アー에 이호준, 헤드리/그레이스 역에 심안나, 프레더릭/소년 ᅦ에 유원준, 클래스/노인 ᅦ에 구본혁

프레더릭 역의 유원준 배우가 첫눈에 들어갔는데 성량이 조금 작았는데 발성이나 목소리 톤이 너무 좋았다. 연기를 보면서 영화 ‘레미제라블’의 마리우스 역을 맡았던 에디 레드메인이 생각났다!

이 밖에도 모든 배우분들이 연기를 너무 잘하셔서 엄청난 대사량을 외워서 무대를 보여줬다. 해당 연극을 보시는 분들이라면 연기력은 정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다.

짧게 쓰려고 했는데 차근차근 쓰다 보니 또 분량이 많아졌는데 헤밍웨이(HeMeans Way)는 스스로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좋은 공연이라고 생각한다.따라서 헤밍웨이가 궁금하거나 철학적인 생각을 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헤밍웨이(HeMeans Way)를 추천하는 곳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