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스키 렌즈와 보드 간의 12C 통신을 사용하기 위해 준비합니다.
허스키 렌즈 임베디드 알고리즘 중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알고리즘을 선택합니다.
허스키 렌즈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가져옵니다.
총 학습된 ID 수를 가져옵니다.
프레임이 화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화면 중앙에 가장 가까운 프레임(frame)의 ID를 가져옵니다.
화면 중앙에 가장 가까운 프레임의 ID를 가져옵니다.
아이디#가 학습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화면에 ID # 의 프레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ID # 의 프레임의 Xcenter 값을 가져옵니다.
ID # 의 화살표의 Xbeginning 값을 가져옵니다.
마이크로비트+허스키렌즈장착조립 #1맥퀸조립-허스키렌즈드라이버필요(교사도움)
허스키 렌즈 인식 처리 사물 인식 #2 아래 내용을 참고하기에 좋다.https://youtu.be/jMAggz4OjaI
허스키 렌즈의 사물을 인식하여 그쪽으로 움직이는 코딩 허스키 렌즈의 사물을 인식하여 그 사물을 인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코딩을 구현한다.


코딩을보고그대로따라하면서동작이움직이는것을확인하고여기서
코딩 동작 원리를 배우면서 응용하는 방법으로 수업을 전개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응용방안은 무엇이 있을까.블록코딩→파이슨텍스트코딩으로 확인하는 방법/메이크업코드/메이크업코드에서 블록으로 설계하면 그걸…


파이썬으로 변경 가능하다면 블록으로 구현되는 것을 파이썬으로 볼 수 있다.아주 쉬운 공부^^이제 파이썬 언어 공부를 하고 가도 될 것 같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