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전세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대출(Loan)을 이용하여 집을 구입합니다.
nypl, 출처 Unsplash

용어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는데 보통 우리는 70%의 대출, 이렇게 말하지만 미국에서는 30%의 Down Payment를 한다고 표현합니다.한국인끼리 이야기할 때는 30% 대출, 이렇게 말합니다. 즉, 대출이 너무 당연하기 때문에 내 돈을 넣는 비율만 이야기하는 거죠.미국인은 심지어 집값의 3.5%만 내면 나머지는 모두 대출이 가능합니다.FHA Loan이라고 해서 본인 거주 주택에 대해 30 년 고정 금리로 빌려줍니다.한국 표현으로 LTV가 무려 96.5%인 거죠. 단, 이 대출은 한국어로 ‘실거주 요건’인 경우에만 가능합니다.일반적인 경우(Conventional Loan)는 5%~20%만 다운받습니다.따라서 실거주 요건이 필요 없는 주택 매수 시에는 80%~95%가 대출이 가능하다는 얘기니까 정말 어마어마합니다.
용어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는데 보통 우리는 70%의 대출, 이렇게 말하지만 미국에서는 30%의 Down Payment를 한다고 표현합니다.한국인끼리 이야기할 때는 30% 대출, 이렇게 말합니다. 즉, 대출이 너무 당연하기 때문에 내 돈을 넣는 비율만 이야기하는 거죠.미국인은 심지어 집값의 3.5%만 내면 나머지는 모두 대출이 가능합니다.FHA Loan이라고 해서 본인 거주 주택에 대해 30 년 고정 금리로 빌려줍니다.한국 표현으로 LTV가 무려 96.5%인 거죠. 단, 이 대출은 한국어로 ‘실거주 요건’인 경우에만 가능합니다.일반적인 경우(Conventional Loan)는 5%~20%만 다운받습니다.따라서 실거주 요건이 필요 없는 주택 매수 시에는 80%~95%가 대출이 가능하다는 얘기니까 정말 어마어마합니다.

지금까지 미국의 대출 종류 중 다운페이먼트가 적은 순으로 1. FHALoan: 실거주 조건 대출 2. Conventionalloan: 일반 대출 3. 무소득 대출처럼 살펴보았는데 마지막 단계가 한국과 같은 미국 기준 외국인에 대한 대출인데 다음 시간에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https://blog.naver.com/macrich20/222959974269
[미국 부동산 투자 칼럼] 미국 주택 구입 시 한국 투자자가 받을 수 있는 대출은?미국 기준 외국인, 즉 영주권이 없는 일반적인 한국인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40% Downpayment를 해야 합니다.blog.naver.com
[미국 부동산 투자 칼럼] 미국 주택 구입 시 한국 투자자가 받을 수 있는 대출은?미국 기준 외국인, 즉 영주권이 없는 일반적인 한국인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40% Downpayment를 해야 합니다.blog.naver.com
[미국 부동산 투자 칼럼] 미국 주택 구입 시 한국 투자자가 받을 수 있는 대출은?미국 기준 외국인, 즉 영주권이 없는 일반적인 한국인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40% Downpayment를 해야 합니다.blog.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