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Eye의 눈 이야기] 녹내장 안약에 대해 알아보아요!(녹내장 안약 치료 목표/종류/부작용)

#녹내장약부작용 #녹내장약종류 #녹내장약부작용 #녹내장약종류 #녹내장약다크서클 #녹내장약눈충혈 #녹내장약눈가리개 #녹내장약알레르기 #녹내장치료목표안압

안녕하세요, 안과 전문의의 Dr.Eye입니다. 녹내장은 환자가 백내장 등 다른 질환과 혼동되어 병의 실체를 잘 이해할 수 없는 질환의 하나이지만 녹내장을 간단히 정의하면 눈의 시신경이 죽어 가는 병이라고 생각됩니다. 시신경 손상 메커니즘과는 여러가지 이론이 있지만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메커니즘은 우리의 눈의 압력을 시신경이 견디지 못하고 서서히 죽어 가는 것입니다. 안압이 높아질 정상 시신경이 파괴되는 경우도 있지만 동양인의 경우 시신경 자체가 약하고 정상 범위의 안압(보통 10mmHg~21mmHg)에서 시신경이 손상될 수가 많아 이를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녹내장 치료를 위해서는 안압을 낮출 가장 중요하다 현재 발매된 여러가지 종류의 약물도 효과적으로 안압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메커니즘을 피로하고 있습니다. 녹내장 치료의 목표 안압

녹내장 약물 치료를 위해 중요한 것은 목표 안압 설정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치료 안압을 결정합니다. · 초기 안압의 20~30% 정도 낮출 것이 권장·Mild(시신경 프레임 얇아지고 시야 손상 X) 10mmHg 중후반·Moderate(시신경 함몰, 초기 시야 손상) 10mmHg 초중반·Advanced(시신경 함몰, 시야 손상 심각) 10mmHg 초반 이하·남은 수명이 길수록, 녹내장 손상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 시작 전 안압이 낮을수록 목표 안압보다 낮게 설정·설정된 목표 안압으로 유지되었음에도 녹내장 손상이 진행될 경우 목표 안압보다 낮게 재설정된 경우 목표 안압을 목표 안압을 낮춘다.

녹내장 약물치료를 통해 보통 초기 안압보다 20~30%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녹내장 시신경의 형태와 시야검사 결과에 따라 초기(mild)/중기(moderate)/말기(어드밴스드)로 나누어 10mmHg 중후반/10mmHg 초중반/10mmHg 초반 이하로 목표 안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 남은 수명이 길수록, 녹내장 손상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 시작 전 안압이 낮을수록 목표 안압을 더 낮게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 안압으로 유지되었음에도 녹내장 손상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목표 안압을 더 낮게 재설정해야 합니다. 녹내장 안약의 주요 작용기전

안압을 낮추는 메커니즘은 눈 해부를 이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조금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녹내장약의 주요 기전

우리 눈에는 섬모체 돌기의 모세혈관에서 생성되는 방수는 눈의 안압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방수가 빠져나가는 주요 배수구를 크게 섬유주 슈렘관 유출로, 포도막공막 유출로가 있고 80~90%는 섬유주 슈렘관 유출로를 통해서 방수가 빠지고 여기가 손상이 돼서 막히면 안압이 올라갑니다. 따라서 안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방수 생성을 억제하거나 방수가 유출로를 통해 더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것이 녹내장 약물의 주요 메커니즘이 됩니다. 주요 녹내장 안약성분 및 부작용

녹내장 약도 워낙 다양하고 부작용도 다양해서 많이 사용하고 있고 중요한 약물 및 부작용 위주로 알려드립니다. 녹내장 안약은 latanoprost, tafloprost, travoprost, bimatoprost 등의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dorzolamide, brinzolamide 등의 탄산 디히드로게나제 계열, timol, betaxol 등의 베타 차단제, 그리고 apraclonidine, bimonidine 등의 알파2 작동제 계열 약물을 자주 처방합니다. 보통 1개의 약만으로 이루어진 안약보다는 2개가 혼합되어 있는 안약이 많이 처방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http://www.vision-and-eye-health.com/glaucoma-eyedrops.html

프로스타글란딘 계열 녹내장 안약은 공통적으로 포도막 공막 유출로를 활성화시켜 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중 bimatoprost(lumigan, 루미간)만 추가로 섬유 주유출로를 함께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약물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속눈썹의 길어짐/진해짐, 눈 주위 색소침착, 윗눈꺼풀이 사라져 보이는 홍채색소침착 등이 있는데 이 중 홍채색소침착만이 영구적이고 나머지는 약제를 중단하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한 환자의 전형적인 모습은 오른쪽 눈 위 눈꺼풀의 홈이 깊어지고 주변에 색이 침착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심한 부작용으로 헤르페스 각막염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수지상 각막염이 재발할 수도 있고 황반부종이나 안내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곰처럼 눈 밑 색소 침착이 발생하고 눈썹이 짙어지는 부작용의 경우 안약을 넣을 때 주변으로 흐르지 않도록 주의하고 점안 후 바로 세수를 하면 예방 및 증상 호전이 있다는 점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인 라타노프로스트, 베타차단제인 티몰 등은 헤르페스 각막염 재발을 유도할 수 있다.탄산 탈수소 효소계의 안약은 방수 생성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으로 안압을 떨어뜨리지만 쓴맛이 옮겨지고, 결막의 자극감 작열감이 느껴지는 부작용이 가장 잘 있습니다. 그리고 각막에 문제가 있는 경우, 안약을 넣으면 각막 부종을 일으키는 일이 있습니다. 베타 차단제도 탄산 탈수소 효소 계통의 약과 마찬가지로 주로 방수 생성을 억제하고 안압을 낮추어 줍니다.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우울증, 불안, 졸음 등의 중추 신경계의 부작용, 심혈관 질환, 기관지 경련/수축, 남성형 대머리, 성 기능 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심폐 질환자의 경우 이 계열의 약물은 피하고 처방해야 합니다. 외에도 건성적 알레르기, 점상 각막 상피 병증, 각막 이식 후의 각막 합병증의 발생, 포진 각막염 재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택성 알파 2작동제, 특히 알파 암(alphagan)으로 알려진 brimonidine의 경우, 방수 생성 억제, 포도막 구멍 막 유출로 활성화 및 신경 보호 효과가 있는 녹내장 환자에게 흔히 사용되고 있지만 전신의 부작용으로 구강 건조, 피로/미노오를 유발할 수 있고 국소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및 결막염을 잘 일으키는 일이 있습니다.선택적 알파2 작동제는 알레르기 결막염을 일으키기 쉽다특히 브리모니딘(알파간)은 5세 이하 어린이나 영유아에게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임신 중에는 다른 녹내장 약제에 비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FDA class B) 비교적 안전할 수 있으나 모유 수유 중에는 모유에 섞여 태아가 섭취할 수 있으므로 모유수중 여성의 경우 안약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녹내장의 경우 대부분 평생 안약을 사용하고 안압을 관리해야 합니다. 그것에 비해서 사용해야 하지 않는 녹내장의 안약은 눈에 불쾌감이나 각종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때는 처음에는 부작용이 아닌 약제가 사용 중에 부작용이 생기기도 있겠지요. 그러므로 정기적으로 안과에서 검사하면서 안압 하강 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해진 때에 안약을 추가 및 교환하고 경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그리고 녹내장 치료는 안압이 잘 빠지고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곧 안과도 자주 안압을 측정하고 아침, 점심, 저녁에서 일 속에서 안압이 언제 가장 큰지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이 도움이 된 것을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감사합니다^^녹내장의 경우 대부분 평생 안약을 사용해서 안압을 관리해야 합니다. 그에 비해 사용해야 하는 녹내장 안약은 눈에 불쾌감이나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때로는 처음에는 부작용이 없었던 약제가 사용 중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지요. 따라서 정기적으로 안과에서 검사하면서 안압하강 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해질 때 안약을 추가 및 교체하여 경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그리고 녹내장 치료는 안압이 잘 떨어지고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가까운 안과에서도 자주 안압을 측정해서 아침, 점심, 저녁에 일 중에서 안압이 언제 가장 높은지 아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