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드를 이렇게 짜봤는데 하면서 느낀 것의 마지막 disp하는 부분에서 x가 10×10 행렬이 되고 그 x값을 xval에 따로 꺼내서 저장해야 했다. 왜 x가 10×10 행렬에 저장되었는지 모르겠다.out이라는 행렬을 저장할 때 먼저 대괄호[]를 이용하여 지정했어야 했다는 점. 그리고 kxvaler는 행벡터이므로 이를 전치시켜 저장해야 나중에 출력과정에서 열을 따라 출력된다.inline이라는 함수 굉장히 유용할 것 같아. 그냥 변수를 이용해서 넣기만 하면 되니까. 그리고 feval 전에 유튜브에서 강의를 들었을 때 봤는데 잊고 있었어. 함수를 사용하는 함수
결과창